우버 운전자와 배달원이 직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고용 법원
- The Boss
- 2022년 6월 13일
- 2분 분량
Employment Court to decide if Uber drivers and deliverers are employees

Uber drivers and deliverers are taking their case to be recognised as employees to the Employment Court.
A group of Uber drivers and deliverers are asking to be called employees to access the rights that most New Zealand workers take for granted – like bereavement leave and holidays.
- 우버 운전기사와 배달원 그룹은 대부분의 뉴질랜드 근로자들이 사별 휴가(Bereavement leave)나 휴가(holidays)와 같은 당연하게 여기는 권리에 접근하기 위해 직원으로 불러달라고(인정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The drivers - through unions E Tū and First Union - are asking the Employment Court for a declaration that says they are employees in a two-week-long hearing before Chief Employment Court judge Christina Inglis.
- 운전자들은 노조 E Tū와 First Union을 통해 고용법원에 2주 동안 열린 크리스티나 잉글리스 최고고용법원 판사 심리에서 자신들이 고용인임을 밝히는 선언을 요구하고 있다.
The unions’ lawyer, Peter Cranney, began his opening by outlining the laws that applied, including the Employment Relations Act, Holidays Act, Pay Equity Act, Wages Protection Act and the Minimum Wages Act among others.
- 노동조합의 변호사 피터 크랜니는 고용관계법, 휴일법, 급여지분법, 임금보호법, 최저임금법 등 적용된 법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개회사를 시작했다.
“In short the statutes listed impose obligations on employers, about decent work conditions and human dignity and are a part of the fabric of New Zealand society,” he said.
- 그는 "요약적으로 열거된 법령들은 고용주들에게 양질의 근로조건과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의무를 부과하고 있으며 뉴질랜드 사회 구조의 일부"라고 말했다.
Of importance was things like the right not to be dismissed without justification and the rights not to be sexually harassed, not to be discriminated organising and joining unions and rights to collectively bargain.
- 명분없이 파면되지(해고되지) 않을 권리, 성희롱을 당하지 않을 권리, 노조를 조직하고 가입하는 차별받지 않을 권리, 단체교섭권 등이 중요했다.
Cranney said the issue was whether Uber drivers were entitled to the employment rights
- 노동조합의 변호사 피터 크랜니는 우버 운전자들이 고용권을 가질 자격이 있느냐가 쟁점이라고 말했다.
“The court’s asked to determine the real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ers and Uber.”
- "법원에 운전자들과 우버 사이의 관계의 실체를 밝혀달라고 요청했습니다."
Cranney said Uber denied any employment relationship, calling itself a technology company rather than a transport company.
- 크랜니는 우버가 운송회사가 아닌 기술회사라며 고용관계를 부인했다고 밝혔다.
“Uber claims it is only the booking agent.”
- "우버는 우버가 단지 예약 대리점이라고 주장합니다."
Cranney outlined the level of control Uber had over drivers that had been part of numerous court cases overseas about the same issue.
- 크랜니는 우버가 동일한 문제에 대해 해외의 수많은 법정 소송의 일부였던 운전자들에 대한 통제 수준을 설명했다.
Comments